광주시, 장사시설 중장기 수급계획 수립 간담회 개최

  • 장사시설 확충 및 장례문화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 및 논의

  • 광주광역시는 13일 시청 3층 협업회의실에서 장사시설, 장례문화 및 정책 관련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장사시설 중장기 수급계획 수립을 위한 전문가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국내 장사문화 및 정책 변화와 향후 전망’(신산철 늘푸른장사문화원 원장) ▲‘국내외 장사문화 선진사례와 시사점’(박태호 대한장례지도사협회 연구위원) ▲‘국내외 친환경 자연장 사례와 시사점’(최정목 대전보건대학 장례지도과 교수) ▲‘광주광역시 장사시설 중장기 수급계획 수립 방향’(김봉진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 ▲‘광주광역시 장사정책의 변화 방향’(류미수 광주시 고령사회정책과장) ▲‘광주광역시 장사시설 현황 및 문제점’(조경상 광주시 도시공사 영락공원팀장) 등 6편의 주제발제와 토론이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신산철 원장은 “보건복지부에서 수립한 ‘제2차 장사시설수급 종합계획(2018~2022)’은 화장률 90%+자연장지이용률 30%,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친자연적 장사시설을 목표로 정부의 장사정책 변화방향을 담고 있다”며 “광주시 또한 정부정책에 대응해 친자연적 및 수요자 맞춤 장사시설의 확충, 변화된 장례문화의 수용성 확대, 웰다잉 등 장사문화 및 시민의식의 개선 등의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정목 대전보건대학 장례지도과 교수는 “관습적으로 이어져온 매장문화로 인해 국토의 환경훼손이 심각한 수준이다”며 “광주시에서도 친자연적인 장사시설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혐오시설 기피현상으로 매장지의 추가 설치는 지역사회의 갈등을 유발할 뿐 아니라 시대흐름에도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친자연적인 시설의 확대를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박태호 대한장례지도사협회 연구위원은 국내외 장사제도 및 시설을 비교 설명하며, 외국의 묘지공원 사례와 같이 장사시설이 혐오시설이 아니라 지역사회에 자연스레 공존하는 공원시설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로 광주시에서도 자원을 활용한 묘지공원 등 도시공원화 도모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봉진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향후 인구구조 변화, 고령화 및 1인 가구의 증가, 시민의식의 변화 등이 장사시설의 수요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를 예측해 이에 대응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조경상 광주도시공사 영락공원팀장은 현재 공급·운용되고 있는 장사시설의 잔여량이 곧 한계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계획량을 추가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류미수 광주광역시 고령사회정책과장은 “매장 위주의 장사 관행에서 고령화로 인한 1인 가구, 사망자 수 증가 등 인구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묘지관리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화장 및 자연장 문화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며 “광주시의 화장률도 2004년 37.8%에서 매년 2~3%씩 증가해 2017년 84.6%(보건복지부 e-하늘 통계)로 증가한 만큼 광주시도 정부 정책변화에 발맞춰 매장묘지의 추가 조성은 지양하고 화장 및 자연장 위주의 장사시설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 관리자 news@jeolla.com
    •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