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최영진 강좌
  • 論語 戒愼 10 (논어 계신 ) 10

  • 작성일 2015-03-09 19:33:04 | 수정일 2015-03-11 21:51:23
  • 53)   子 曰   辭는   達而已矣니라.

          자 왈   사는    달 이 이 의니라. 辭말씀 사 達통달할 달 已뿐이 그만둘이

    해석. 공자님이 말씀하셨다. 말은 뜻이 서로 통하게 하면 될 뿐이다.  

    해설. 말을 함에는 서로 뜻을 통달함을 취할 뿐이요, 풍부하고 화려함을 훌륭함으로 삼지 않는다.   

    54)  孔 子 曰    益 者 三 友요     損 者 三 友니    友 直하며  友 諒하며  友 多 聞이

          공 자 왈    익 자 삼 우요     손 자 삼 우니    우 직하며  우 량하며  우 다 문이

     면  益 矣요   友 便 辟하고   友 善 柔하고    友 便 佞이면   損 矣니라.

     면 익 의요    우 편 벽하고   우 선 유하고    우 편 녕이면    손 의니라.  

    한자풀이. 益더할 익 損손해날 손 直곧을 직 諒믿을 량 聞들을 문, 알문

    辟치우칠 벽, 한쪽벽, 임금벽 柔유약할 유 便잘할 편 佞말잘할 녕  

    해석. 공자님이 말씀하셨다. 도움이 되는 세 가지 벗이 잇고 손해가 되는 세 가지 벗이 있으니 벗이 정직하고, 성실하며, 배움이 많으면, 도움이 되는 것이요, 벗이 한쪽으로 치우치고, 벗이 유순하기를 잘하며, 벗이 말을 잘하면 손해가 된다.  

    해설. 벗이 정직하고 곧으면 자신의 허물을 듣게 되고, 벗이 성실하면, 나도 그 성실함을 본받게 되고, 벗이 지혜가 많으면, 내가 벗으로 인하여 밝아짐에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便(편)은 익숙함이다. 便辟(편벽)은 외모에만 익숙하고 한쪽으로 치우침을 말하고, 善柔(선유)는 아첨하여 기쁘게 하는 데만 잘하고 성실하지 못함을 이르고, 便佞(편녕)은 말에만 익숙하고 見聞의 실제가 없음을 이른다. 이 세 가지의 손해됨과 유익함은 서로 반대가 된다. 天子로부터 庶人(서인)에 이르기까지 벗을 필요로 하여 이루지 않는 자가 없는데, 그 손해됨과 유익함이 이와 같은 것이 있으니 삼가지 않을 수 없다.

     

    55)   孔  子曰   侍 於 君 子에   有 三 愆하니     言 未 及 之 而 言이면    謂 之 躁요

           공 자 왈   시 어 군 자에    유 삼 건하니     언 미 급 지 이 언이면    위 지 조요

    言 及 之   而 不 言하면    謂 之 隱이요    未 見 顔 色  而言하면    謂 之 瞽라한다

    언 급 지   이 불 언하면    위 지 은이요    미 견 안 색   이 언하면  위 지 고라한다.  

    한자풀이. 侍모실 시 愆허물 건 躁조급할 조 隱숨을 은 顔얼굴 안 瞽봉사 고  

    해석. 공자님이 말씀하셨다. 군자를 모심에 세 가지 잘못이 있으니, 말이 미치지 못하는데 말을 하면, 조급함이라 하고 말이 미치는데 말을 하지 않으면 숨김이라고 하고, 안색을 보지 않고 말을 하는 것을 봉사라고 한다.  

    해설. 君子란 德과 地位를 가진 사람을 말한다. 愆(건)은 잘못이 있는 허물이고 瞽(고)는 눈이 멀어서 보지 못하고 말을 살피고 안색을 볼 수 없는 사람을 말한다. 때문에 때에 맞추어 말을 하면 이 세 가지 잘못을 하지 않을 것이다.

    56)   孔 子 曰    益 者 三 樂요    損 者 三 樂니   樂 節 禮 樂하며   樂 道  人之善

           공 자 왈    익 자 삼 요요    손 자 삼 요니    요 절 예 악하며   요 도 인 지 선

     하며 樂 多 賢 友면   益 矣요  樂 驕 樂하며  樂 佚 遊하며   樂 宴 樂이면  損矣니라

    하며 요 다 현 우면   익 의요   요 교 낙하며   요 일 유하며   요 연 낙이면 손 의니라.  

    한자풀이. 樂좋아할 요 損손해날 손 節따를 절 道말할 도 賢어질 현 佚편안일 宴잔치 연 驕거만할 교 遊놀 유, 해엄칠 유 樂즐거울 낙, 유익할 낙  

    해석. 공자님이 말씀하셨다. 유익한 좋아함이 세 가지가 있고, 손해되는 좋아함이 세 가지가 있으니, 예악 따르기를 좋아하며. 남의 선 말하기를 좋아하며, 어진 벗 많음을 좋아하면 유익하고, 교만과 안락을 좋아하며, 편안히 노는 것을 좋아하며, 향락에 빠짐을 좋아하면 손해가 된다.  

    해설. 節(절)은 예의 제도와 음악의 소리와 용모를 분별함을 말한다. 교만하고 잘난 체하며 방종하면 禮儀(예의)와 절도를 알지 못하고, 편안히 놀면 태만해져서, 善한 말 듣기를 싫어하며, 향락에 빠지면 음탕하여져서 小人을 가까이하니, 이 세 가지 손해됨과 유익함도 서로 반대가 된다. 때문에 君子가 좋아하고 즐김에 있어서는 항상 조심하여야 한다.

      

    57)  孔  子曰     見 善 如 不 及하며   見 不 善 如 探 湯하라   吾 見 其 人 矣요

          공 자 왈     견 선 여 불 급하며   견 불 선 여 탐 탕하라    오 견 기 인 의요

    吾 聞 其 語 矣로다.

    오 문 기 어 의로다.

    한자풀이. 探찾을 탐 더듬을 탐 湯끓을 탕 聞들을 문 矣어조사 의  

    해석. 공자님이 말씀하셨다. 善을 보면은 미치지 못한 것 같이 하고 不善을 보고는 끓는 물을 더듬은 거처럼 하라, 나는 그런 사람을 보았고, 그런 말을 들었노라.  

    계신편 다음장에 계속됨니다. 性理學者  崔 榮辰

    청송 haenam78@naver.com
  •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