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일본뇌염 경보발령 따른 예방관리대책 추진

  • 광주시는 지난 25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됨에 따라 일본뇌염 예방관리 대책에 나서기로 했다.

    시는 15세미만 어린이는 가까운 병·의원이나 보건소에서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개인접종 권장시기에 맞춰 반드시 접종 하도록 하고  일본뇌염 환자 발생에 대한 병·의원 모니터링 감시도 실시키로 했다.

     3회 기초접종은 ▲1차는 생후12~24개월, 2차는 1차접종후 7~14일, 3차는 2차 접종일로부터 12개월 후 ▲2회 추가접종은 4차 만6세 , 5차 만12세 이다.

    시는 가축사육장 등 병원체 서식 위험지역의 살충소독과 물웅덩이 및 늪지대 등 모기매개 서식지 제거를 위한 유충 구제 활동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시민들에게는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가정내 환경을 조성하고 모기의 활동이 왕성한 해가 진 이후(오후7~밤9시)와 새벽에는 야외활동을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질병관리본부의 일본뇌염 유행예측 조사결과 일부지역(전북)에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전체 모기의 50%를 넘어 지난 25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됐다.

     

    □ 일본뇌염 유행예측 사업
     ○질병관리본부에서 일본뇌염 유행예측을 위하여 일본뇌염의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의 발생을 전국 단위로 감시하고 있으며, 7월4주(7월24일) 전북에서 1일 저녁 채집된 모기 중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500마리 이상으로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임을 확인함에 따라(‘08.7.25)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함

     

    □ 일문일답
    Q 1. 일본뇌염이란 어떤 질병인가요?
    A 1.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에 물렸을 경우 혈액내로 전파되는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해 급성으로 신경계 증상을 일으키는 급성 전염병으로, 뇌염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높고, 후유증의 발생이 높은 질병입니다.
    Q 2. 모든 모기가 일본뇌염을 유발하나요?
    A 2. 아닙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얼룩날개모기와 금빛숲모기, 빨간집모기, 작은빨간집모기 등 56종의 모기가 있으며, 이중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리면 일본뇌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3.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물리면 일본뇌염이 발생하나요?
    A 3. 모든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일본뇌염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일본뇌염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렸을 경우 극히 일부에서 일본뇌염이 발생합니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매년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계속 검사하고 있습니다.

    Q 4. 일본뇌염의 임상적 특성은 어떠한가요?
    A 4.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물린 사람의 95%는 무증상이며 일부에서 열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극히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 초기에는 고열, 두통, 구토, 복통, 지각이상
          - 아급성기에는 의식장애, 경련, 혼수, 사망에 이를 수 있고
          - 회복기에는 언어장애, 판단능력저하, 사지운동저하 등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5. 일본뇌염 환자와 접촉하면 일본뇌염에 걸릴 수 있나요?
    A 5. 일본뇌염은 사람간에는 전파되지 않습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돼지를 일본뇌염 모기가 흡혈한 후 사람을 물었을 경우에 전파됩니다. 그러므로 일본뇌염 경보가 발생하면 모기가 왕성하게 활동하는 새벽과 해가 진 무렵 저녁에는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Q 6. 일본뇌염 매개모기 유충은 어디에 살고 있나요?
    A 6. 일본뇌염 매개모기는 주로 논과 연못, 관개수로, 미나리꽝, 빗물고인 웅덩이 등 비교적 깨끗한 물에서 서식합니다. 모기 구제는 성충보다는 유충구제가 더욱 효과적이므로 거주지 주변 웅덩이가 있을 경우에는 관할 보건소에 알려 방제하도록 합니다.

    Q 7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7.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기초접종 3회와 추가접종으로 만 6세와 12세에 각각 1회씩 맞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연중접종으로 본인의 예방접종일정에 따라 접종하시면 됩니다.
           ·기초접종(3회) : 1차(생후 12~24개월), 2차(1차 접종후 7~14일 사이), 3차(2차 접종일로부터 12개월 후)
           ·추가접종(2회) : 4차(만6세), 5차(만12세)

    <광주시 보도자료>

    • 관리자
    •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