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옛 기무부대 터‘5ㆍ18역사공원’조성 박차

  • -12월 3일부터 20일간, 도시계획시설결정 위한 주민열람 실시-
    - 근거 없는 개발계획과 토지거래 소문 등에 주의해야 -


     광주시는 ‘80년 5ㆍ18민주화운동 당시 진압군의 지휘부 역할과 민주인사들을 연행ㆍ구금ㆍ고문했던 역사적 현장인 서구 쌍촌동 소재 옛 기무부대 터를 ’5ㆍ18역사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는 이 곳이 행정동, 관사 등 5ㆍ18과 관련하여 원형이 잘 보존된 유일한 장소로서 역사적 현장으로 보존가치가 충분함에 따라 지난 6월 27일 ‘5ㆍ18사적지’로 지정하고, 11월 16일 사전환경성검토와 공원조성을 위한 건축허가를 제한한데 이어 오는 12월 3일부터 22일까지 20일간 주민열람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시는 앞으로 주민열람을 거쳐 관계기관 협의, 시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의 법정절차를 이행한 후, 2008년 2월에 도시관리계획을 결정․고시하는 등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이 곳을 5ㆍ18민주화운동을 알리고 기리는 산 교육장으로 활용함과 아울러 울창한 수림을 이용한 시민 휴식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2009년까지 5ㆍ18역사공원 조성사업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옛 기무부대 터는 3만 8,000㎡ 규모로 1980년 실질적인 신군부의 지휘본부가 있었던 곳으로 민주인사와 시민들의 저항을 억압하기 위해 고문수사를 진행하는 등 5ㆍ18민주화운동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진 주요 현장 중의 한 곳이다.


     이로써 민선3기 박광태 시장이 취임한 이후 옛 전남도지사 공관부터 시작된 도심내 공공기관 이전부지에 대한 공원화 사업은 그동안 금남로 한국은행 광주지점, 화정동 국가정보원 광주지부와 국군광주병원 부지 등이 공원으로 조성되어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광주시 관계자는 “일련의 절차를 거쳐 도시관리계획이 결정되면 공원조성 이외 일체의 토지사용이나 개발행위를 할 수 없게 되므로 공원조성 이외 근거 없는 개발계획에 대해 시민들의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5ㆍ18역사공원 조성을 위해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 전라닷컴
    •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