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ㆍ전남 공동 국가산업단지」본격 시동

  • - 타당성 용역 공동추진 협약 체결 -

    건설교통부와 광주시, 전남도는 지난 1월 7일(월) 건설교통부에서 이용섭 장관, 김재현 한국토지공사 사장, 박광태 광주시장, 박준영 전남도지사가 참석한 가운데「광주․전남 공동 국가산업단지」지정․조성의 전 단계로 산업단지 수요 및 타당성 분석 등에 대한 연구용역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이 체결됨에 따라 참여기관들이 공동으로 용역비 3억원(건교부 0.3, 토지공사 0.7, 광주시 1, 전남도 1)을 부담하여 오는 2월부터 7월까지 약 6개월간에 걸쳐 대상 지역의 산업용지 수요와 주요 유치업종을 제시하고 산업단지의 개발방법 및 지원방법,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분석할 계획이다.


    그리고 객관적인 용역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참여기관 산하 연구기관인 국토연구원, 광주발전연구원, 전남발전연구원이 공동으로 용역을 수행할 예정이다.


    그 동안 광주시와 전남도는 첨단과학산단, 대불산단 등 양 시․도에 소재한 국가산단의 분양이 완료됨에 따라 추가적인 산업용지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양 지역의 산업기반을 융합한 새로운 성장동력 산업을 유치하여 지역의 상생발전 거점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양 시․도의 접경지역에 공동 국가산업단지를 유치하기로 협의하고 같은 해 12월 건설교통부와 토지공사에 산업단지를 지정․조성해 줄 것을 건의한 바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가 건설교통부에 제시한 주요 유치업종은 자동차, 조선, 항공 등 주력산업 관련 첨단 부품소재산업, 나노․광산업 기반을 활용한 센서․로봇 및 영상의료기기산업, 생물산업 기반을 활용한 신약․의료 및 생물적 방제산업, 공동혁신도시 한전 이전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산업 등으로 알려졌다.


    건설교통부 관계자는 “타당성 용역을 거쳐 광주시와 전남도 접경지역 후보지들의 산업입지여건 등을 검토하여 그 결과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금년 7월부터 산업단지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이후 산업입지정책심의회를 거쳐 국가산업단지로 지정․개발해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박광태 광주시장과 박준영 전남도지사는 “「광주․전남 공동 국가산업단지」의 양 시․도 상호간은 물론 건교부와 적극 협력해 나가자”면서  “이번 사업이 실현되면 양 시․도의 산업특성을 반영하고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건설에 따른 새로운 산업수요를 효과적으로 감당하여 그 동안 낙후되었던 우리 지역이 잘 사는 지역으로   거듭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전라닷컴
    •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