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발전정책 기본구상 및 전략’ 강연회 개최

  • - 8월1일 광주테크노파크, 광주 전남·북 지역 관계자 참여

    광주시는 1일 오후4시 광주테크노파크 2층 회의실에서 ‘지역발전정책 기본구상 및 전략’에 대한 정책강연회를 개최한다.

     (재)광주테크노파크(원장 남헌일)와 공동으로 마련한 이번 강연회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이하 균형위) 지역경제국 정순남 국장이 강사로 초빙돼 지역발전을 위한 이명박 정부의 정책에 대해 설명한다.

    강연회에는 광주시와 전남도 전북도의 담당관, 지역산업 전문가,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한다.

    정순남 국장은 강연회에서 이명박 정부의 지역발전정책의 기본방향이 지역 이기주의의 틀을 허물고, 수도권과 지방이 상생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다는 점을 설명할 예정이다.

    특히, 전 국토의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열린 국토공간 구현을 위한 ‘4대 초광역개발권’ ▲전국 16개 시・도를 묶어 광역경제권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5+2 광역경제권’ ▲162개 시·군 단위의 지역 개발을 위한 ‘기초생활권’ 등을 추진전략으로, 궁극적으로 전국 어느 곳이나 ‘일자리와 삶의 질이 보장되는 지역’으로 형성한다는 내용을 설명한다.

    ※『4대 초광역개발권』은 3대 해안벨트(남해안 산업벨트, 서해안 신산업벨트, 동해안 에너지관광벨트)와 남북교류 접경 벨트로 분류  
    ※『5+2 광역경제권』은 수도권과 충청권, 대경권, 호남권, 동남권의 5대 광역권과 제주권, 강원권의 2대 특별 광역경제권을 의미
    ※『기초생활권』은 대도시를 제외한 전국 162개 시・군을, 중소도시와 소도읍 및 배후 농산어촌을 연계, 도시와 농촌의 통합적 개발  

    이와관련, 4개 관련부처의 기본방향을 실행하기 위한 소관 분야의 구체적 방안을 설명하고, 상생도약을 위한 지역 발전정책 방향도 제시할 예정이다.
    4개 관련부처별 구체적 방안
    기획재정부 : 지역 경쟁력 제고를 위한 재정·세재 지원 및 규제 개선방안
    지식경제부 : 지방의 기업유치 및 투자 활성화 방안
    행정안전부 : 지방분권 및 지역갈등사업 협력 원활화 방안
    국토해양부 : 지역성장거점 육성과 광역인프라 구축방안


    시는 (재)광주테크노파크와 함께 신정부의 흐름을 파악하고, 지난 3월 시도담당 공무원과 지역산업 전문가로 TF를 구성했다.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바이오식품, 광융합산업, 지식서비스산업 등 5개 산업을 광역경제권 활성화를 위한 신산업으로 발굴하고 이를 사업화하기 위한 전방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앞으로 TF에서 발굴·기획된 보고서를 기초로 한 광역경제권 시범사업 및 선도 프로젝트사업 제안서를 작성해 중앙정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 광역경제권 선도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지식경제부
        광역경제권 산학연 거점대학 육성 : 교육과학기술부
        광역경제권 물류거점(항만, 공항 등)의 고부가가치화 : 국토해양부

    <광주시 보도자료>

    • 관리자
    •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