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최영진 강좌
  • 儒家五德(유가오덕) 儒家五常(유가오상)

  • 작성일 2014-12-31 21:33:51 | 수정일 2015-01-01 07:55:51
  •  君子의 절사(絶四) 네 가지 허물 전혀 없는 마음

    1)무의(毋意) : 나의 사사로운 뜻을 주장하지 않는다.

    2)무필(毋必) : 일을 하기 전에 반드시 꼭 그렇게 해야겠다고 기필하지 않는다.

    3)무고(毋固) : 옛것을 집착하거나 고집하지 않는다.

    4)무아(毋我) 나의 사사로운 욕심을 버리고 대의를 위해 나를 희생 해야한다.

    해설. 絶(절) 절은 전혀 없는 것이다. 意는 사사로운 나의 뜻이요, 必은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한다는 기필하는 것이요, 固는 집착하는 것이요, 我는 사사로운 자기를 뜻한다. 이 네 가지는 서로 처음과 끝이 되니 즉 어떤 일이 사사로운 뜻에서 시작되어 기필하는 마음에서 이행되고, 이것이 고집하는 데 머물러 이기적인 自我로 완성된다. 意와 必은 항상 일이 생기기 전에 있고, 固와 我는 항상 일이 생긴 뒤에 있다. 그러나 내가 다시 私意(사의)를 내게 되면, 物慾(물욕)에 이끌리어 끊임없이 반복 순환하게 되니, 이 네 가지 중에 하나라도 마음속에 있으면 이는 나와 天地가 서로 같지 않으니, 君子는 이런 마음이 전혀 없어야 한다.

    한자풀이. 絶 끊을 절 (毋 말무 無와 동일하게 쓰임) 意 뜻의 必 반듯필, 기필할 필 固 굳을 고, 집착할 고 我 나아, 사사로운 나

    儒家의 오덕(儒敎五德) 1)온화(溫和) 2)양순(良順) 3)공손(恭遜)

    4)검소(儉素)) 5)겸양(謙讓)

    1)온화(溫和) : 성품이 온순하고 몸가짐이 바르고 화기애애한 모습.

    2)양순(良順) : 마음이 어질고 순수하여 잡됨이 없음.

    3)공손(恭遜) : 몸가짐을 바르게 하고 겸손하게 함.

    4)검소(儉素) : 사치스럽지 않고 순수하고 물자를 아껴 씀.

    5)겸양(謙讓) : 받을 것을 겸사하여 받지 않거나 겸손한 태도로 사양함.

    子貢曰 夫子는 溫良恭儉讓以得之하니 夫子之求之也는 其諸

    자 공 왈 부 자 는 온 양 공 검 양 이 득 지하니 부 자 지 구 지 야는  기 제

    異乎人之求之與이다.

    이 호 인 지 구 지 여이다.

    해석. 자공이 말했다. 부자는 온화하고 양순하며 공손하고 검소하시며 사양함으로 얻으시니 부자님이 구하심은 일반인이 구하는 것과는 다른 것이다.

    한자풀이. 溫온순하온 良어질양 恭공손할공 儉검소할검 讓사양할양

    其諸(기제)는 어조사 ★논어 학이 14편 출

    儒家의 五常(오상)

    1) 仁(인): 남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어진 마음.

    2) 義(의): 사리에 마땅하고 바르고 곧은 마음.

    3) 禮(예): 겸손과 사양으로 자신을 낮추고 법도에 따르는 마음.

    4) 智(지): 사물의 이치를 궁리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마음.

    5) 信(신): 서로가 돕고 의지하며 믿고 살아가는 마음.

    청송 haenam78@naver.com
  •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