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겨에서 천연 나노소재 확보 기술 상용화

  • 전남나노바이오연구원, 제조 기술 이전․투자 가시화

  •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나노바이오연구원(원장 이재의)이 벼 부산물인 왕겨로부터 나노실리카를 대량 확보하는 제조기술 상용화에 성공했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장원석)의 지원을 받아 개발에 성공한 왕겨 나노실리카 제조 노하우는 민간기업 인성산업(주)(대표 김영춘)에게 이전됐다. 기술이전식은 수원 소재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서 지난 13일 진행됐다.

    수도권 기업인 인성산업(주)은 앞으로 장성에 50억 원을 투자해 공장을 설립해 나노실리카 전문제조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목표다.

    이번 이전된 기술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를 역임한 전학제 박사가 보유한 원천특허를 확보하고, 전남대 화학과 한종수 교수팀과 나노바이오연구원이 8년 이상 나노소재 상용화 연구를 지속해 이뤄낸 성과다.

    대량 생산 전 단계인 파일럿 규모의 플랜트 기술 개발은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했다. 연구원은 상용화를 위해 나노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고,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생산설비 구축과 시장 발굴 등 공동 협력에 적극 나선 결과 산업화를 위한 결실을 맺게 됐다.

    왕겨 실리카는 자연에서 얻은 천연 나노소재이기 때문에 화장품, 식품 첨가제 등에 사용되고 있는 기존 화학 합성 실리카를 상당부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왕겨 실리카에만 존재하는 4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한 구멍을 이용하면 의료용이나, 수처리용 필터 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향후 응용 범위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벼 부산물인 왕겨에서 중금속 등 불순물을 제거하고, 높은 온도로 태운 다음 산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고순도 나노 실리카를 대량 생산할 경우 기존 제품과의 가격 경쟁력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우리나라 벼 총 생산량은 424만 톤으로 이 중 전남 생산량은 82만 3천 톤이다. 전남산 왕겨 17만 톤에서는 모두 2만 5천 톤의 실리카를 얻을 수 있다. kg당 3만 원짜리 고부가가치 화장품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면 전남산 실리카 총액은 7천500억 원에 이른다. 왕겨 실리카 제조기술의 산업화는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선도적인 시도로 주목받고 있다.

    이재의 나노바이오연구원장은 “앞으로도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업 부산물의 산업적 가치를 더욱 높이고, 전후방 산업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관리자 news@jeolla.com
    •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 NaverBand